“내정간섭 말라” “조선총독인가”…여, 해리스 미 대사에 강력 경고
[경향신문] 조형국 기자 situation@kyunghyang.com | 입력 : 2020.01.17 20:59 수정 : 2020.01.17 23:04
남북 교류 관련 잇단 ‘어깃장’에
청·정부 이어 여당도 비판 가세
.
청와대가 17일 정부의 남북 교류협력 확대 방침에 반대 의사를 밝힌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사진)를 이례적으로 강하게 비판했다. 여당도 ‘내정간섭’ ‘조선총독’이라는 격한 표현을 쓰며 청와대 ‘경고’에 힘을 보탰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사가 주재국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언론에 공개적으로 언급한 부분은 대단히 부적절하다”며 “정부는 남북관계의 실질적인 진전과 조속한 북·미 대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남북 교류협력 확대로 북·미 대화 교착을 돌파하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구상에 해리스 대사가 어깃장을 놓는 발언을 이어가자 강하게 경고한 것이다. 청와대는 지난 8일에도 “한 나라의 대사가 한 말에 일일이 답변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밝혔다.
여당도 거들었다. 더불어민주당 설훈 최고위원은 확대간부회의에서 “해리스 대사가 정부의 남북관계 진전 구상에 제재 잣대를 들이댄 것에 엄중한 유감을 표명한다”며 “개별관광은 제재대상도 아니며, 내정간섭과 같은 발언은 동맹 관계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장인 송영길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해리스 대사 개인 의견으로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대사가 무슨 조선총독인가”라며 “위치에 걸맞지 않은 좀 과한 발언이다. 직분에 맞게 언어에 신중해야 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이해식 대변인도 “본인의 발언이 동맹국인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의 오해를 촉발할 수 있다는 성찰을 하기 바란다”고 논평했다.
해리스 대사는 16일 외신 기자들과 만나 “추후 미국 독자 제재 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촉발을 피하려면 워킹그룹을 통해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7일 KBS와의 인터뷰에서도 문 대통령의 대북 구상을 두고 미국과 협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출처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1172059025&code=91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