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정소슬의 詩내기

[부고]금기됐던 정지용詩 첫 연구… 오탁번 시인 별세

by 정소슬 posted Feb 17, 2023

[부고]금기됐던 정지용詩 첫 연구… 오탁번 시인 별세

[문화일보] 입력 2023-02-16 11:40 업데이트 2023-02-16 11:53 박동미 기자  

 

 

 

 

 2023021601072912056001_b.jpg

 

정지용 시 연구와 신춘문예 3관왕으로 유명한 오탁번 시인이 지난 14일 별세했다. 80세.

 

고려대 명예교수이자 국문학자인 오 시인은 1943년 충북 제천에서 태어나 고려대 영문학과와 동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국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인은 1970년대 금기시된 정지용 시 연구로 주목받았는데, 그의 시에 관한 것으로는 최초의 석사 논문을 쓰기도 했다.

 

또한, 대학 재학 중이던 1966년 동화 ‘철이와 아버지’로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됐는데, 196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 ‘순은이 빛나는 이 아침에’가, 1969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처형의 땅’이 당선돼 ‘신춘문예 3관왕’으로도 화제가 됐다. 고인은 2008∼2010년 한국시인협회장을 지냈고 2020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선정됐다.

 

빈소는 고려대안암병원 장례식장 303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17일 오전 10시, 장지는 제천 개나리 추모공원이다.

 

박동미 기자

 

출처 :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021601072912056001

 

?
Comment '1'
  • profile

    오탁번 선생님 황망합니다

    [문학뉴스] 강현 기자 입력 2023.02.16 15:27 수정 2023.02.16 15:28|

    [말말말]

     

     

     

    71603_21997_2437.jpg

    박제영 (시인 출판인)

     

     

    오탁번 선생님께서 유명을 달리하셨습니다.

    올봄에 춘천 가면 보자고 하셨는데.... 도무지 믿기지 않습니다... 황망합니다...

     

    ***

     

    탁본, 오탁번

     

    오탁번 선생님 뵈러 장인수 시인과

    애련리 원서문학관 갔던 건데

    성과 속을 오가며

    시와 문학과 우리말의 정수를 회 뜨시는

    선생의 강의를 들으며

    우리는 시종 울다 웃다 취했던 건데

    햄릿의 그 유명한 독백

    <투비 오어 낫 투비>를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요렇게 해석하는 놈들은 죄다 가짜여

    웃기고 자빠질 일이지

    <기여? 아녀? 좆도 모르겠네>

     

    요게 진짜여

    이 대목에서는 그만

    배꼽을 잡고 쓰러질 수밖에 없었는데

    돌아오면서 생각하는 거다

    탁본을 뜨려면

    詩알이

    오탁번 정도는 돼야지

    아무렴

    알 만한 이는 다 아는

    공공연한 이 바닥의 비밀

    어탁語拓을 뜨려면

    詩붕語,

    시붕어 중에서도

    오탁번이지 암만

     

    ***

     

    선생님, 이곳에서 그러셨던 것처럼 부디 그곳에서도 환하게 웃고 계시길요...

     

    - 2022년 2월 15일 페이스북

     

    강현 기자 diak@munhaknews.com

     

    출처 : http://www.munhak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1603

     


시시콜콜, 혹은 시끌시끌한

The poet speaks in poetry only, this anecdote is the collection of poems. / 시인은 시로 말하고, 그 어록이 시집이다.

  1. 18
    Feb 2023
    12:00

    조하연 세 번째 동시집 '올백 아닌 올빵'

    [신간] ‘올백 아닌 올빵’, 독자의 마음을 보듬어주는 부드러우면서 강한 詩 [데일리안] 입력 2023.02.17 20:32 수정 2023.02.17 20:52 이도환 기자 (dohwan@dailian.co.kr) 문학이 지닌 치유와 소통의 힘'을 강조하고 있는 시인의 특징을 선명...
    By정소슬 Reply0 Views1
    Read More
  2. 18
    Feb 2023
    11:43

    박무성 새 시집 '달빛 속에 피는 꽃'

    [신간] 시집- 달빛 속에 피는 꽃 [불교공뉴스] 손혜철 승인 2023.02.17 16:15 출판사 서평 사람이 살아가는 것은 사랑이 있기 때문이다 ‘사랑’만큼 오랜 세월 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탐구해온 주제도 드물다. 사랑은 사람을 살리고, ...
    By정소슬 Reply0 Views1
    Read More
  3. 18
    Feb 2023
    11:32

    이경교 새 시집 '나는 죽은 사람이다'

    [신간] 이경교 시집 '나는 죽은 사람이다' [뉴스로드] 기자명 뉴스로드 입력 2023.02.17 13:24| 이름 없는 개인의 삶을 통해 들여다본 시대의 자화상, 그리고 시를 통한 씻김굿 걷는사람 시인선 82번째 작품으로 이경교 시인의 시집 『나는 죽은 사람...
    By정소슬 Reply0 Views5
    Read More
  4. 17
    Feb 2023
    10:40

    [부고]금기됐던 정지용詩 첫 연구… 오탁번 시인 별세

    [부고]금기됐던 정지용詩 첫 연구… 오탁번 시인 별세 [문화일보] 입력 2023-02-16 11:40 업데이트 2023-02-16 11:53 박동미 기자 정지용 시 연구와 신춘문예 3관왕으로 유명한 오탁번 시인이 지난 14일 별세했다. 80세. 고려대 명예교수이자 국문학자인...
    By정소슬 Reply1 Views5
    Read More
  5. 17
    Feb 2023
    10:27

    장시우 여행집 ‘가지 못한 길은 꿈이 되고’

    여행지마다 흐른 음악, 기억의 스위치 누르네 [강원도민일보] 기자명 김여진 입력 2023.02.17| 장시우 ‘가지 못한 길은 꿈이 되고’ 해외 여행지 17곳 풍경·음악 담아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멜로디들이 흘러 나온다. 포르투갈의 파두, 쿠바...
    By정소슬 Reply0 Views1
    Read More
  6. 17
    Feb 2023
    10:18

    이양균 첫 시집 ‘소나무는 울지 않는다’

    농촌의 삶 선물같은 시편 [강원도민일보] 기자명 신현태 입력 2023.02.17| 이양균 시집 ‘소나무는 울지 않는다’ 평창농협 조합장을 지낸 이양균 씨가 최근 시집 ‘소나무는 울지 않는다’를 발간했다. 시집은 1부 ‘그런 시를 쓰고...
    By정소슬 Reply0 Views4
    Read More
  7. 17
    Feb 2023
    10:09

    박해림 동시집 ‘간 큰 똥’

    [책]“저희를 더 아껴주세요” 차가운 어른들에게 전하는 아이들의 외침 [강원일보] 김민희기자 minimi@kwnews.co.kr 입력 : 2023-02-16 23:00:00 (15면) 박해림 시와소금 부주간이자 시인, 동시집 ‘간 큰 똥’ 펴내 박해림 시인(시와소...
    By정소슬 Reply0 Views1
    Read More
  8. 16
    Feb 2023
    20:02

    양순진 디카시집 ‘피어나다’

    꿈꾸는 생태작가 양순진 출판기념 북토크 [뉴제주일보] 김나영 기자 승인 2023.02.16 16:45 19일 남문서점 2층 양순진 시집 '피어나다'와 '반딧불이 놀이터' 제주의 작고 소중한 생명을 애정 어린 눈으로 어루만진 시인을 만난다. 제주 출신 ...
    By정소슬 Reply0 Views2
    Read More
  9. 16
    Feb 2023
    19:47

    정현우 두 번째 시집 '소멸하는 밤'

    (볼 만한 새 책) '소멸하는 밤' 정현우 지음|현대문학 펴냄 [뉴스토마토] 권익도 기자 2023-02-16 16:10:43ㅣ2023-02-16 16:10:43 시인들의 개성이 잘 묻어나는 시집들을 엮어온 ‘현대문학 핀 시리즈’가 44번째 시집으로 정현우의시 세계...
    By정소슬 Reply0 Views3
    Read More
  10. 16
    Feb 2023
    19:34

    임동확 두 번째 산문집 '시는 기도다'

    생성론적 사유로 바라본 詩와 예술 [무등일보] 입력 2023.02.16. 14:37 최민석 기자 시는 기도다 임동확 지음/ 푸른사상/ 272쪽 "내게 시는 분명 어떤 '겉사실'의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속사실'의 대상이다. 특히 올바른 시가 단순히 현상의 ...
    By정소슬 Reply0 Views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610 Next
/ 610
>> Visitor counter <<
오늘:
233
어제:
233
전체:
2,205,003

본 홈페이지는 XE 엔진sketchbook5 layout & board로 제작되었으며, 모니터 사이즈 1280x800 이상이면 무난히 볼 수가 있습니다.
Copyright ⓒ2000 정소슬 All Rights Reserved. RSS
E-mail : moreunduk@hanmail.net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