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읽으면… 시가 쓰인다
[강원도민일보] 기자명 김진형 | 입력 2022.12.09|
강원 활동 시인 시산문집 출간
이영춘, 90여명 시 감상·해설
시는 함축된 언어다. 그래서 시인들이 쉽게 설명하고 싶어도 차마 풀지 못하는 언어들도 있다. 간혹 시인들의 산문이 그들을 더욱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유다. 시인들이 어떤 경험을 했고, 무엇에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해 분량에 상관없이 독자들과 마음껏 소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인들은 오늘도 자신의 시를 읽거나, 타인의 시를 읽는다. 읽는다는 것은 쓰는 일의 첫 걸음이다.
■ 이영춘 ‘시와 함께, 독자와 함께!’
평창 출신 이영춘 시인의 ‘시와 함께, 독자와 함께!’는 90여명에 달하는 시인들의 시와 그들을 읽어낸 감상이 담겨있다. 기형도·문정희·오탁번·나태주·김종삼 등 유명시인들의 작품이 실려있는가 하면 고진하·이홍섭·조오현·권정남·김정미·박제영·정정하·정춘근·정클잎·조현정·최돈선 등 강원도 시인에 대해서도 대폭 조명했다.
중요한 것은 시인이 시를 읽는 눈이다. 좋은 시란 무엇인가. 정답은 없지만 방향성은 짐작하게 만든다. 진정성이 담긴 눈물겹도록 애틋한 시, 시인의 마음이 그렇다. 상당 분량에 걸쳐 가족에 관한 시를 소개한다. ‘식구’라는 말은 ‘밥을 함께 먹는 입’이고, 입 속에는 가족의 의미 또한 자리잡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시인은 어머니를 많이 생각한다. 공광규의 ‘별꽃’, 기형도의 ‘엄마 걱정’, 김종해의 ‘가을 산새’, 고진하의 ‘은가락지’ 등이 그렇다. 박해림의 ‘달 저녁’을 읽고나서는 “자식들을 기다리며 한으로 살아오신 우리 어머니들의 삶이 오늘따라 아니, 이 시를 따라 가슴을 아프게 때린다”고 이야기한다.
현대인의 고뇌와 방황을 담은 시, 운명적이면서도 철학적 세계관을 담은 시들도 포함했다. 김백겸의 ‘세포도시’에 대해서는 “현대과학의 한계를 인식한듯 그 한계를 종교, 명상, 상상력, 신화를 통해 풀어보려는 노력이 엿보인다”고 해설했다.
시를 읽으면서도 시인 자신을 향하는 자성의 목소리가 들린다. 사람에 대한 성찰이다. 김상미의 ‘명랑 백서’에 대해서는 “그의 시집 두 페이지를 채 넘기기도 전에 코끝이 찡해왔다”며 “그의 표현은 우리 모두에게 공통된 ‘불온’이며 ‘불안’”이라고 표현한다.
김진형 formation@kado.net
출처 :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1158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