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 소년들' - 이설야 시인 2번째 시집 출간
[인천in] 승인 2021.10.21 17:03
어두운 골목 소녀, 소년들의 가슴아픈 이야기들 전해
이설야 시인이 두 번째 시집 ‘굴 소년들’을 출간했다. 지난 2016년 첫 시집 ‘우리는 좀더 어두워지기로 했네’ 출간 후 5년만이다.
지난 2011년 ‘내일을 여는 작가’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설야 시인은 70~80년대 리얼리즘의 정서로 민중적 삶과 애환, 수난의 에피소드들을 써왔다. 제1회 고산문학대상 신인상을 수상했다.
첫 시집 ‘우리는 좀더 어두워지기로 했네’는 인천의 후미지고 축축한 골목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뤘다. 작가에게 인천은 언제나 벗어나고픈, 견디기 힘든 애증의 장소였다.
이번 시집에서도 시대와 장소를 넘어, 세계 곳곳의 어두운 골목에 사는 소녀, 소년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그들의 목소리가 시인의 속에서 자꾸만 흘러넘치니 어쩔 수 없는 노릇이었다. 쓰는 수 밖에.
태평양전쟁 시기 일제에 의해 부평 조병창, 함봉산 지하토굴에서 착취당했던 ‘굴 소년들’이 등장한다. 소년들은 죽어도 죽은 줄도 모르고 계속 굴을 팠다.
식량이나 물보다도 천막이 당장 절박한 먼 나라 ‘난민 소녀들’도 모습을 드러낸다. 햇빛을 피할 그늘조차 절박하지만, 어린 산모와 아이가 안전하게 태어나게 하기 위해 가림막- 천막이 필요하다.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파업이 자주 일어났던 동구 금곡동 한국 최초의 성냥공장 ‘조선인촌 주식회사 소년 직공 김오진’이 인(燐)을 삼켜버렸는데, 영혼마저 녹아내렸다.
오포를 쏘던 ‘화평동 조막손이’ 가토(加藤)라는 사내는 오발탄으로 손가락이 여덟 개나 타버렸는데, 보상금으로 전당포를 차려 고리대금업자가 되었다. 그리고 조선인들의 장롱 속에서 집문서를 빼앗으니...
시인은 ‘굴 소년들’에 모두 25편의 절절한 시들을1,2부로 나누어 담았다.
송종원 문학평론가는 "시인이 일궈놓은 마음의 밭을 들여다보면 이설야는 세상에 퍼져 있는 고통을 돌보는 일이 자신을 돌보는 일과 다르지 않다고 여기는 시인"이라고 말한다.
그것은 내가 이 세계에 어떻게 좀더 올바르게 존재할 것인가를 살피는 일이기도 한 것이다.
출처 : http://www.incheon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3340
이설야 시인 '앵무새를 잃어버린 아이' 박영근 작품상 선정
[경인일보] 발행일 2022-05-05 제13면 |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
이설야 시인
이설야(사진) 시인이 박영근 작품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박영근 시인 기념사업회는 제8회 박영근작품상 수상작으로 이설야 시인의 시 '앵무새를 잃어버린 아이'를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수상작은 작년에 출간된 이설야 시인의 두 번째 시집 '굴 소년들'(아시아)에 실린 첫 작품으로 어린이의 노동을 주제로 다뤘다.
8살 나이로 가사도우미로 일하다 집주인 부부에게 폭행당해 숨진 파키스탄 소녀 '조흐라 샤'를 추모하는 시다. 가해자 부부는 조흐라 샤가 고가의 애완용 앵무새에게 먹이를 주다 실수로 놓치자 학대했고 결국 죽음에 이르게 했다.
심사위원회는 "노동하는 존재의 고통에 대한 형상화에 갇혀 있지 않고 그 고통으로부터 노동하는 존재를 해방시키겠다는 비감의 결단을 보여준다는 사실 때문에 이 작품을 주목했다"며 "시인은 기존의 현실주의 시가 빠지던 관습화된 저항을 넘어서 새롭게 만들어내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현실 저항시가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가는 모습"이라고 평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
출처 :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20504010000934